1.시놀로지 nas준비하기
패키지 설치하기 Docker

Docker를 검색, 설치 안나온다면 호환이 안되는것 설치불가 라즈베리파이나 리눅스용 찾아서하기.



터미널 탭의 ‘SSH 서비스 활성화’


쁘띠실행

시놀로지NAS IP 입력 후 Open 클릭

시놀로지NAS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ID 비번으로 로그인

root 권한을 획득
sudo -i

root@로 바뀝니다.
$ mkdir -p /volume1/docker/teslamate
$ mkdir -p /volume1/docker/teslamate/import
$ touch docker-compose.yaml
2.아래를 전부 카피하여 붙여 넣기.
cat부터 맨 밑에 EOF까지 그대로 복사해서 마우스 오른쪽버튼 눌러서 붙여넣고 엔터
version: "3"
services:
teslamate:
image: teslamate/teslamate:latest
restart: always
environment:
- ENCRYPTION_KEY= #insert a secure key to encrypt your Tesla API tokens
- DATABASE_USER=teslamate
- DATABASE_PASS= #insert your secure database password!
- DATABASE_NAME=teslamate
- DATABASE_HOST=database
- MQTT_HOST=mosquitto
ports:
- 4000:4000
volumes:
- ./import:/opt/app/import
cap_drop:
- all
database:
image: postgres:13
restart: always
environment:
- POSTGRES_USER=teslamate
- POSTGRES_PASSWORD= #insert your secure database password!
- POSTGRES_DB=teslamate
volumes:
- teslamate-db:/var/lib/postgresql/data
grafana:
image: teslamate/grafana:latest
restart: always
environment:
- DATABASE_USER=teslamate
- DATABASE_PASS= #insert your secure database password!
- DATABASE_NAME=teslamate
- DATABASE_HOST=database
ports:
- 3000:3000
volumes:
- teslamate-grafana-data:/var/lib/grafana
mosquitto:
image: eclipse-mosquitto:2
restart: always
command: mosquitto -c /mosquitto-no-auth.conf
# ports:
# - 1883:1883
volumes:
- mosquitto-conf:/mosquitto/config
- mosquitto-data:/mosquitto/data
volumes:
teslamate-db:
teslamate-grafana-data:
mosquitto-conf:
mosquitto-data:
3. 실행
$ sudo docker-compose up -d

접속 확인하기
기본적인 웹 접속 주소는 2개이고 첫번째는 최초 1회만 OAUTH 인증을 수행해주고 그라파나는 수시로 접속하게 된다.
- web interface : http://your-ip-address:4000
- Grafana dashboards : http://your-ip-address:3000
- admin/admin
4.
웹 인터페이스 OAuth 인증하기
아래와 같이 접속해보면 테슬라 계정의 OAUTH 인증을 해야한다.

5. 그라파나 접속해보기
아래와 같이 접속해서 최초 계정인 admin/admin으로 접속한다.

이후 바로 비번변경 유도 화면이 나오고 보안을 위해 비번을 변경해준다.
로그인해서 대시보드를 보면 각종 통계들을 볼 수 있다.

업데이트 방법
docker-compose pull
docker-compose up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