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페이지 사용설명서 부터 한글설명이 되어있습니다.
Please wait while flipbook is loading. For more related info, FAQs and issues please refer to DearFlip WordPress Flipbook Plugin Help documentation.

CONTAX 取扱說明書
촬영전의 기본조작
———————————————–
전지를 넣는 방법
메인스위치를 “OFF”로 하고서 읽어주세요.
1. 밧데리 뚜껑을 엽니다.
동전등을 사용해,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돌려 열어주세요.
2. 3V리튬전지(CR2)2개를 밧데리 넣는 곳의 표시에 따라 올바르게 넣어주세요.
* 전지의 방향이 틀리면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을 뿐더러,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3. 뚜껑을 원래대로 닫습니다. 11
———————————————–
[그림] 전지를 교환해주세요.
<밧데리-체크>
전지를 넣은 후, 카메라를 한번 작동시켜주세요. 표시판넬에 “ ” (밧데리 경고마크)
가 표시되지 않으면, 전지의 전압이 정상입니다.
<전지의 교환시기>
표시판넬에 “ “마크가 켜지면, 전지교환 시기입니다. 메인스위치를 “OFF”로
한 후 카메라의 밧데리 뚜껑을 열고, 새전지로 교환해주십시오.
* “ “마크가 켜져도 촬영할 수 있지만, 조속한 시일 내에 전지를 교환해주십시오.
전지용량이 사용한계를 초과하면, 표시 판넬의 “ “ 마크가 없어지고, 카메라는
작동되지 않습니다.
* 전지를 끼우면 일시적으로 전압이 낮아져, “ “ 마크가 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새로운 전지를 끼운 직후에 “ “ 마크가 들어오는 경우는, 한번 메인 스위치를 “OFF”
로 하고 다시 “ON”을 해주세요. 그렇게 해서 “ “ 마크가 사라지면 사용하세요. 12
————————————————–
렌즈의 설치 / 분해
[그림] 렌즈설치Ring / 이 부분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림] 렌즈설치Ring/ 렌즈설치, 분해는 반드시 렌즈설치Ring을 잡고 해주세요.
렌즈설치Ring이외에서는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습니다.
<렌즈의 설치>
우선 카메라의 Body cap과 렌즈 뒤Cap을 각각 돌려 떼어내십시오.
다음, 렌즈의 설치Ring을 잡고, 렌즈 옆의 표시점을 카메라 옆의 렌즈지표에 맞게
끼워, 눌러주면서 시계방향(왼쪽 위의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딸깍”하는 소리가 날 때
까지 돌려서 설치해주세요.
* 렌즈가 들어가지 않을 경우, 혹은 표시부분에 딱 맞지 않게 들어간 경우는 lock이
불가능합니다. 그때는 다시 렌즈를 분해해 렌즈의 마운드링 (검은 부분)과 렌즈설치Ring을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끝까지 돌리고 나서 설치해주세요. 13
————————————————–
[그림] 렌즈설치Ring / 이 부분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렌즈 분해>
렌즈설치Ring를 잡고, 카메라의 렌즈분해버튼 중앙을 누르면서 렌즈를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돌려, 앞쪽으로 들어내 떼어냅니다. 카메라에서 떼어낸 렌즈는 렌즈캡과 뒤캡, 카메라에는 바디캡을 씌워서 보관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 렌즈를 붙였다 떼었다 할 때, 렌즈와 바디 내부, 접점 등을 만지지 않도록 해주세요.
* 필름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렌즈를 붙였다 떼었다 할 때는, 직사광선 등 강한 빛을 피해주십시오.
또, 렌즈를 분해한 상태에서, 직사광선 아래에서 장시간 방치하지 말아주십시오.
* 호로곤 16mmF8설치, 분해는 반드시 렌즈가이드를 참고해주십시오.
[카메라에서 렌즈를 분해 했을 때, 조리개Ring의 작동범위가 변하지만 고장은 아닙니다.
카메라를 다시 설치하면 올바른 작동범위로 됩니다. 14
—————————————————-
메인스위치
전원의 “OFF” “ON” 및 “AEL” (AElock)의 변환을 합니다.
* 오작동을 막기 위해, 메인 스위치는 “딸깍”하는 소라가 나는 위치에 정지해 사용해주세요.
OFF : 표마크가 보이지않을 때
카메라의 전원이 끊겨, OFF의 상태로 됩니다.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셧터가 끈기지 않도록 메인스위치를 OFF로 해주세요.
ON 마크 : 케메라의 전원이 들어옵니다. 보통 그때 사용해주세요.
“AEL”마크 : 역광에서의 촬영이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일정노출에서 연속 촬영하는 등,
노출을 고정 (AElock)하고 싶을 때 사용해주세요. 자세한 사항은 P54를 참조해주세요. 15
——————————————————
파인더 내 표시
(이 그림은 설명하기 위해 전 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실제 표시와는 다릅니다.)
[그림]
파인더 내 표시는 다음을 조작 했을 때에 표시 됩니다.
표시는 16초후 자동적으로 사라지는 절전설계로 되어있습니다.
1. 메인스위치를 ON으로 했을 때.
2. 메인스위치를 ON의 상태에서, 셧터 버튼을 반만 누르거나, 또는 포커스다이얼,
포커스lock버튼을 조작했을 때.
표시중에 다이얼과 버튼 등을 조작하면, 표시를 16초간 더 연장합니다. 16
———————————————————
촬영범위테 : 렌즈의 초점거리와 촬영거리를 자동적으로 변화시킵니다.
테두리 안에 피사체를 넣어 촬영해주십시오.
포커스프레임 : 핀트맞춤 범위입니다.
스토로보마크 : TLA플래쉬시스템 사용시, 충전이 완료되면 “ “ 마크가 들어옵니다.
또 TTL조광이 적합하게 맞을 때는 촬영 후에 2초간 마크가 없어집니다.
노출보정표시 : 노출보정다이얼과 A.B.C촬영에서 노출보정을 하면 +, 또는 – 마크가
켜집니다.
측거표시 : 핀트맞춤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자세한 것은 [핀트를 맞추는 방법](P33부터)을
참고하세요.
셔터스티피드/촬영거리: 셧터 스피드를 표시합니다. 셧터 스피드는 1/6000초부터 16초까지
1/2스텝으로 표시되고, “6000”와 1/6000초, “200”은 1/200초, “16”은
16초를 표시합니다.
또 “MF”(매뉴얼포커스) 때는 포커스lock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촬영거리를
표시합니다.
노출마크: 오토노출모토에는, 오토노출연동범위내의 오버 “ “, 언더 “ “의 표시,
매뉴얼모터에는 적정노출 “ “, 오버 : “, 언더 “ “ 를 표시합니다.
[파인더 오른쪽모퉁이에 필터와 파이도, 렌즈의 거울통 등이 약간 보일 때도 있지만,
실제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17
———————————————————-
표시판넬 /필름카운터
<표시판넬> (이 그림은 설명을 위해 전 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실제 표시와 다릅니다.)
[그림]
밧데리 경고마크 : 전지 교환시기를 표시합니다.
ISO. DX마크 : 필름감도표시를 했을 때, 혹은 필름감도셋트를 한 모드일 때 표시합니다.
*DX코드에 의해 자동세트상태의 때는 보통 “DX”로 표시됩니다.
촬영거리/필름감도
셧터버튼을 반정도 누르면, 촬영거리를 표시합니다. ISO버튼을 누르면, 필름 감도표시가 됩니다. 또 커스텀 기능의 셋트상태도 표시됩니다. 18
——————————————————-
필름카운터
촬영 매수를 표시합니다.
또, 다음의 표시도 합니다.
*A. B. C촬영 때 촬영순서
*촬영필름 완료 때의 표시
*셀프타이머 작동잔여시간
*벨부 촬영의 경과시간 19
——————————————————–
시도조정 방법
이 카메라는 시도조정기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시도조정손잡이를 돌려, 파인더 내 중앙의 포커스프레임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조정해주세요.
조정범위는 +0.3~-2D(디옵터)입니다.
카메라의 시도조정기구의 범위 내에서 시도조정이 불가능한 경우, 시도보정렌즈GFL타입(별매)를 이용해주세요.
시도조정법위는 다음표와 같습니다.
시도보정렌즈 | 조정범위 |
없음 | +0.3D ~ -2.0D |
GFL(-4) | -3.0D ~ -5.0D |
GFL(-2) | -1.0D ~ -3.5D |
GFL(+2) | +3.0D ~ +0.4D |
———————————————————- 20
[그림1] strap stopper
[그림2] 시도보정렌즈
[그림3]이 방향으로 누르면서 닫아주세요.
<시도보정렌즈의 설치방법>
시도조정렌즈를 설치할 때는, 렌즈가 떨어지지 않도록 파인더 접안부를 위로 향해 주세요.
또, 시도보정렌즈는, 더럽혀지지 않도록 끝부분을 잡아 주세요.
(1)그림과 같이, 파인더 접안부 옆의 구멍을 붙어있는 strap stopper의 끝부분으로 누르면서 접안부의 가장자리를 들어올려 떼어주세요.
(2) 시도보정렌즈를, 안쪽의 테두리 내에 끼웁니다.
(3) 테두리 좌측의 돌기를 구성에 맞춰, 원래대로 끼워주세요. 21
—————————————————-
필름 넣는 방법
1. 속뚜껑 개방 노프를 세워서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속뚜껑을 엽니다.
연후, 개방노프는 원래 위치에 넣어두세요.
* 필름을 넣을 때는 카메라의 안쪽에 있는 [보전시트]를 반드시 해체 해주세요.
2. 그림과 같이, 필름바토로이네 끝을 비스듬하게 해서 넣습니다.
[셧터의 막에 관해 : 셧터의 막은 정밀부품으로서 절대 손으로 만지거나 필름의 끝으로 건드리지 말아주세요. 특히 필름의 끝이 셧터의 막 위에 있는 상태는, 절대로 셧터를 작동시키지 말아주세요. 22
——————————————————
3. 필름의 끝을 오렌지색의 “I”마크의 위치까지 당겨, 그 채로 스풀의 위에 남겨주세요.
이때 그림과 같이 필름이 뜨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필름의 앞이 길게 나온 경우는, 길이를 조절해주세요.
4. 속뚜껑을 확실하게 닫습니다.
속뚜껑을 닫으면 필름이 자동적으로 1코마까지 공회전해, 필름카운터는 “01”로 됩니다.
*필름카운타가 “00”인채 마크가 없어진 경우, 필름이 올바르게 들어가지 않는 경우입니다.
다시 열고, 한번 더 넣어주세요.
*DX접점과 데이터백 용접점은, 함부로 만지거나 더럽히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필름을 넣고 꺼낼 때, 직사광선을 피해주세요. 23
——————————————————-
필름감도를 확인하는 방법 / 필름감도의 셋트 방법
매인스위치가 “ON”의 상태에서, ISO버튼을 누르면, 그림과 같이 필름감도가 약 16초간 표시판넬에 표시되어집니다.
DX자동셋트의 경우는 “DX” 라고 표시되어집니다.
* 필름 감도 표시중에 셧터 버튼을 반정도 누르면[촬영거리표시]로 돌아옵니다.
필름감도의 셋트는, DX코드이용에 의해 자동 셋트 와, 임의 의 감도를 셋트하는 수동 셋트 2개의 방법이 있습니다.
[표시 판넬에 “DX”가 표시되어져 있는 경우는, DX코드에 의한 자동 셋트 입니다. DX코드가 쓰여있는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는 그대로 사용해 주십시오. 표시 판넬에 “DX”가 표시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반드시 필름감도를 수동으로 셋트 해주세요.] 24
——————————————————-
ㅁ “DX”셋트를 햇을 때(자동 셋트 모드)
DX코드가 쓰여있는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가 필름감도를 자동 셋트 합니다. DX코드 필름은 ISO 25 ~5000까지 사용 가능 합니다. “DX”의 마크와 감도는 필름의 겉 상자에 표시되어있습니다.
*DX 코드가 없는 필름을 넣으면, ISO100으로 자동셋트 됩니다.
ㅁ 임의 감도 셋트할 때(수동 셋트 모드)
DX코드가 없는 필름의 감도 셋트와, DX표시 또는 다른 감도로 바꾸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필름감도는, ISO6~6400의 범위에서 1/3단 마다 셋트가 가능합니다.
*임의 감도 셋트를 하면, DX코드가 쓰여있는 필름을 사용할 때도 수동 셋트 했던 상태로 됩니다. 25
—————————————————-
[그림] 약 1.2초이상 누릅니다.
[그림] 포커스다이얼
1. 메인스위치를 “ON”으로 하고, ISO버튼을 표시판넬의 [필름감도’표시가 깜빡거릴 때까지(약 1.2초이상)계속 누릅니다. 표시가 꺼지면, 버튼에서 손을 떼어주세요.
2. 포커스 다이얼을 돌려 “DX” 도는 맞추고 싶은 감도에 맞춥니다.
포카스 다이얼을 돌리면, 필름감도가 1/3단계씩 변화 합니다. 26
—————————————————–
3. 메인스위치를 “ Off”로 해주세요. 이것으로 셋트 완료입니다.
* 셧터 버튼을 반누름, 포커스lock버튼을 누름, 또는 그대로 약 16초 경과해도 셋트됩니다.
* 셋트했던 필름감도는, 다음 셋트 할 때까지 기억해 주세요.
[필름감도셋트의 도중에는 파인더 내 표시전체가 보이지 않아, 촬영할 수 없습니다. 27
—————————————————-
셧터스피드 다이얼
[그림] 셧터스티드다이얼lock해제버튼
촬영필름에의 노광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AUTO”로 셋트하면 “조리개우선오토촬영”으로 됩니다.
숫자에 맞추면 “매뉴얼노출촬영”으로 되 셧터스피드가 셋트 됩니다. 셧터스피드는 4S ~4000(1/4000초)의 범위에서 1단 마다 셋트가 가능합니다.
또, 벨브촬영을 할때는, “B”에 맞추고, 스토로보촬영을 할때는 “x”에 맞힙니다. “X”에 맞추면 셧터스피드는 스토로보 동조 스피드(1/200초)가 됩니다.
*셧터스피도다이얼은 “딸깍”하는 소리가 나는 Ring의 위치에 멈춰 사용해주세요.
*”AUTO”와 “X”에는 오작동을 막기위한 lock이 걸려있습니다. 변환할 때는 셧터스피드 다이얼록해제버튼을 누르면서 해주세요. 28
—————————————————-
드라이브모드 변환다이얼
촬영목적에 따라 다음의 드라이브모드가 선택됩니다.
드라이브모드 변환다이얼을 돌려, 마크를 표시에 맞춰주세요.
다이얼은 click의 위치에 멈춰서 사용해주세요.
“S” …1코마촬영
카메라의 셧터버튼을 누를 때마다 1코마분 촬영되 말아 올려지고 정지합니다.
“CH”, “CL” … 연속촬영
카메라의 셧터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초”는 최고 약 4코마/초, “CL”에서는 약 2코마/초의 연속촬영이 가능합니다. (촬영코마속도는, 셧터스피드와 필름감도, 사용하는 전지의 상태, 또 데이터백사용시는 코마 사이 사진이 있음/없음에 의해 변화합니다.)
“ “…셀프타이머 촬영
셀프타이머 촬영을 할때에 셋트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P66을 참고해주세요.
“ “… 다중노출촬영
다중노출촬영을 할때에 셋트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P64를 참고해주세요. 29
——————————————————–
포커스모드 변환다이얼/포커스록버튼
<포커스모드변환버튼>
촬영목적에 대해 다음의 포커스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핀트를 맡추는 방법] (P33)을 참고해주세요.
“SAF” – 싱글,오토포커스
오토포커스에서 핀트맞춤을 하여, 한번 핀트가 맞으면 그 위치에 핀트를 고정합니다.
“CAF”- 컨티뉴어스. 오토포커스
오토포커스에 연속해서 핀트를 맞춥니다.
“MF”- 매뉴얼 포커스
핀트맞춤은 포커스다이얼을 조작하는 수동으로 됩니다.
<포커스록버튼>
“CAF” (콘티뉴아스, 오토포커스 촬영시, 포커스록(핀트를 고정)하고 싶을 때, 이 버튼을 누릅니다. 30
——————————————————–
카메라의 자세 / 촬영할 때는, 반드시 렌즈켑을 분리해주세요.
핀트가 맞은 아름다운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확실히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핀트가 나쁜 사진의 대부분은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원인입니다.
카메라는 가로 이외에, 상황에 따라 세로로 찍기도 하는데, 어느 쪽이든 자신에 맞는 자세를 연구해 주십시오. 건물과 나무 등을 이용해 몸과 카메라를 받쳐주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그림] 손에 힘을 주지말고, 조용하게 셧터 버튼을 누른다. 찍는 순간, 호흡을 멈춘다.
렌즈, 측거창, 적외선 발광부, ISO버튼 등을 손가락으로 가리지 않도록 주의 한다.
*자세를 취한 때 ISO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주의해주십시오. 파인더 내 표시전체가 깜빡거릴때는, ISO버튼이 눌러져 필름감도셋트 상태로 된 경우, 촬영이 불가능합니다. 필름감도가 변하지 않았는지 확인해주세요. 31
———————————————————
필름 되감기
필름을 전부 촬영해 끝나면 자동적으로 되돌아갑니다.
되감기 중은 필름카운터가 숫자가 작아지며, 되감기가 끝나면, 모터가 정지해 카운터의 “00”표시가 없어집니다.
모터가 정지해, 필름카운터가 “00”으로 보이지않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속 뚜껑을 열어, 필름을 꺼내주세요.
*필름을 꺼낼 때는 직사광선을 피해주십시오.
*되감기 후는, 반드시 필름을 꺼내 주세요. 되감은 후는, 한번 속 뚜껑을 열기까지 카메라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필름을 도중에 되감기 할때는, 카메라 측면에 있는 도중 되감기 버튼을, 부속의 strap stopper의 끝으로 눌러주십시오.(침 등의 예리하고 뽀죽한 것으로는 누르지 말아주세요.
* 꺼낸 필름은 빨리 현상합시다. 32
———————————————————-
핀트 맞추는 방법
이 카메라의 핀트맞춤은, 자동으로 오토포커스(AF) 와 수동으로 매뉴얼포커스(MF)가 있습니다. 오토포커스에는 “SAF” (싱글. 오토포커스)와, “CAF” (콤비메뉴얼, 오토포커스)가 있습니다. 오토포커스모드변환다이얼에서 변환합니다. 피사체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면, 보다 좋은 사진촬영이 가능합니다.
1. “SAF” (싱글, 오토포커스)
비교적 움직임이 작은 일반적인 사진의 경우에 추천합니다. 이 모드에서는, 한번 핀트가 맞으면 핀트가 고정(포커스락)됩니다. 핀트가 맞지 않으면 셧터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핀트 우선모드 입니다.
2. “CAF” (콘티뉴어스, 오토포커스)
어린이등 움직이는 피사체를 화면의 중심에서 연속적으로 쫓는 경우 추천합니다. 이 모드에는 핀트가 맞지않아도 셧터가 작동됩니다. 셧터 찬스 우선 모드입니다.
3. “MF” (매뉴얼포커스)
불꽃놀이나 야경 등 오토포커스에서 핀트를 맞추기 어려운 먼 피사체는 매뉴얼포커스에서 “InF”(무한대)로하면 좋은 핀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밖에, 정물사진같이, 항상 일정한 거리에서 많은 촬영을 하고 싶을 때는 매뉴얼포커스에서 거리를 설정하고 촬영하면 편리합니다. 33
—————————————————-
드라이브모드(S, CL, DH)와 포커스 모드의 관계
각 드라이브모드(S, cl, ch)시, 포커스모드에 의한 핀트맞춤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커스모드 드라이브모드 | “SAF”(싱글, 오토포커스) | “CAF”(콘티뉴어스, 오토포커스) | “MF”(매뉴얼,포커스) |
S1코마촬영 | 셧터버튼을 반누름에서 AF가 작동하고, 한번 핀트가 맞으면 그 위치에 핀트를고정(포커스락)합니다.*핀트맞춤이 되지 않을때는 셧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 셧터버튼반누름에서 AF가 작동되, 반누름하고있는 동안 핀트를 계속 맞춥니다.*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 그 위치에서 핀트가 고정(포커스락)합니다.*핀트맞춤이 가능하지 않아도 셧터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 카메라의 포터스다이얼을 돌려 핀트를 맞춥니다. |
CL, CH(연속촬영) | 셧터버튼반누름에서 AF가 작동되, 한번 핀트가 맞으면 그 위치에서 핀트를 고정(포커스락)합니다.*핀트맞춤이 되지 않을 때는, 셧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연속촬영시는, 최초의 코마(사진)에 핀트를 고정한 촬영이 됩니다. | 셧터버튼반누름에서AF가 작동해, 반누ㄹ루고있는동안 핀트를 계속 맞춥니다.*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 그위치에 핀트가 고정(포커스락)합니다.*핀트맞춤이 되지않을때도 셧터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연속촬영시는, 1코마마다 핀트를 다시 맞춥니다. | 카메라의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핀트를 맞춥니다.*연속촬영중은 매뉴얼포터스가 불가능합니다. |
34
——————————————————–
<드라이브모드(S, CL, Ch) 와 노출에 관해>
드라이브모드와 포커스모드의 편성에서, 노출(측광)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커스모드 드라입모드 | “SAF”(싱글, 오토포커스) | “CAF”(컨티뉴어스, 오토포커스) | “MF”(매뉴얼, 포커스) |
S1코마촬영 | 셧터가 작동하기 직전에 노출 값을 결정합니다. | ||
CL(연속촬영) | 셧터가 작동하기 직적에 노출 값을 결정합니다.*연속촬영시는, 1코마마다 재서 고칩니다. | ||
CH(연속촬영) | 셧터가 작동하기 직전에 노출값을 결정합니다.*연속촬영시는, 최초 코마(사진)의 노출에서 연속촬영시킵니다. | 셧터가 작동하기 직전에 노출값을 결정합니다.*연속촬영시는, 1코마마다 재어 고칩니다. 단, 포커스락 했을때는, 그 시점에 노출도 고정(AE락)합니다. | 사탸가 작동하기 직전에 노출값을 결정합니다.*연속 촬영시는, 최최코마(사진)의 노출에서 연속촬영시킵니다. |
35
——————————————————
오토포커스(“SAF”, “CAF”) 에 의한 핀트맞춤
[그림] 파안더/표시판넬/측거(거리측정)마크/거리눈금/예: 3m때/ 예:00때
1. 포커스 모드 변환다이얼을, “SAF”, 또는 “CAF”로 셋트 합니다.
파인더 내 표시와 카메라상단의 표시 판넬이 그림과 같이 됩니다.
* 장치하는 렌즈에따라, 파인더내 거리측정표시의 거리눈금이 변합니다.
2. 핀트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에 포커스프레임을 향하게하고, 셧터버튼을 반누름니다.
자동적으로 핀트가 맞춰지고, 측거마크가 켜집니다. 불이 들어온 위치가 핀트를 맞췄던 촬영거리 입니다. 동시에, 표시 판넬에 거리값을 표시합니다.
3. 그대로 셧터버튼을 눌러 촬영해주세요. 36
—————————————————–
ㅁ “SAF”(싱글, 오토포커스) 때:
셧터버튼을 반눌렀을 때, 한번 핀트가 맞춰지면 그 위치에서 고정(포커스락)되어집니다.
* 연속촬영( “CL”, “CH” ) 시는 최초사진에 핀트가 고정되, 그 핀트위치에의 연속촬영이 됩니다.
*핀트맞춤이 되지 않을 때, 측거불능마크”**” 가 깜빡거리고, 셧터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같은거리에 있는 다른 피사체에 포커스락(P38)을하고 촬영해주세요.
*핀트맞춤이 되지 않아도 셧터찬스 우선에 촬영하고 싶을때는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서 셧터버튼을 눌러주세요. 셧터가 작동합니다..
ㅁ “CAF”(콘티뉴어스, 오토포커스)때:
셧터버튼을 반 누르고 있는 동안, 연속해서 핀트를 계속 맞춥니다. 핀트가 맞은 것을 확인하고 촬영해주세요.
*연속촬영 (“CL”, “CH”)에서는 1코마마다 핀트가 계속 맞춰지면서 연속촬영 됩니다.
*측거불능마크 “**”가 깜빡거리거나, 핀트가 맞춰지지 않을 때도 셧터 버튼을 누르면 셧터가 작동합니다.
*피사체의 움직임과 변화에 의해, 핀트맞춤이 연속촬영에 따라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 가는 도중 거리측정이 불가능해도, 앞의 정보에서 핀트를 맞추기 때문에 그대로 셧터를 작동해도 극단적으로 핀트가 맞지않는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런 촬영을 할 때는 별도 기억의 피사계심도표를 참고해서 조리개를 조절해 촬영할 것을 권합니다.
[측거표시오른쪽아래의 “ *”마크가 깜빡거릴때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너무 가깝습니다. “SAF”때는 셧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caf”때는 셧터가 작동하지만 핀트가 맞지않습니다.]
—————————————————- 37
포커스락
오토포커스 (“SAF”, “CAF”)일때, 구도에 따라 핀트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가 포커스프레임에서 빗나갈 경우에는, 다음처럼 핀트를 고정(포커스락)해 촬영합니다.
ㅁ. “SAF” (싱글 오토포커스)일 때:
1, 핀트를 맞추고싶은 피사체에 포카스프레임을 을 향하게 하고, 셧터버튼을 반누릅니다.
핀트맞춤이 되고, 핀트가 맞으면 측거표시의 측거마크가 표시되, 그 위치에서 포커스락이되어집니다.
2. 셧터버튼을 반누른 채 찍고싶은 구도에 카메라를 돌려, 거기에 셧터버튼을 강하게 눌러 촬영합니다.
*셧터버튼을 반누르고 있는 동안은 핀트는 “락”되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방향을 바꿔도 핀트는 변하지 않습니다.
*포커스락은, 셔터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해제됩니다. 38
—————————————————-
ㅁ”CAF” (콘티뉴어스, 오토포커스)일 때:
1. 핀트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에 포커스프레임을 향하게하고, 셔터버튼을 반누릅니다.
셔터버튼을 반누르고 있는 동안, 연속해서 핀트를 계속 맞춥니다.
2. 파인더 내 측거마크가 켜진 것을 확인하고, 포커스락버튼을 눌러주세요.
포커스락버튼을 누른곳에서 핀트를 고정합니다.
3. 포커스락버튼을 누른채 찍고싶은 구도에 카메라를 돌려, 거기에 셧터버튼을 강하게 눌러 촬영합니다.
*포커스락버튼을 누르고있는동안, 핀트는 락되어집니다. 39
—————————————————
매뉴얼포커스(“MF”) 에 의한 핀트맞춤
“MF” 로셋트하면 파인더 내 측거표시가 그림과 같이 되, 포커스스케일(핀트가맞는경우)과핀트지표를 표시합니다.
표시판넬에는, 포커스다이얼에 연동해서 촬영거리가 표시 되어집니다.
<1. 카메라의 측거기능을 사용하는경우>
1. 포커스모드 변환다이얼을 “MF”로셋트합니다.
2. 핀트를 맞추고싶은 피사체에 포커스프레임을 향하게하고, 파인더 내 측거표시를 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립니다.
파인더 내의 포커스스케일이 변화하기 때문에, 포커스스케일과 핀트지표가 일치되도록합니다. 40
—————————————————
측거표시와 핀트가 맞는상태
포커스스케일의 “ㅁ”은 핀트가 어긋날수록 많이 표시되어집니다.
표시 | 핀트 맞는 상태 |
포커스스케일핀트지표 | [뒤핀]피사체에 핀트가 맞지 않습니다.피사체보다 원거리의 것에 핀트가 맞쳐 있습니다. |
[겹칠 때]피사체에 핀트가 맞아있습니다. | |
[앞핀]피사체에 핀트가 맞지않습니다.피사체보다 근거리의 것에 핀트가 맞쳐 있습니다. | |
깜빡거림 | [거리측정불능]측거가 불가능해, 알맞은 핀트를 얻을수 없습니다. |
[그림]포커스락버튼을 눌렀을 때
* “MF”일때는,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안, 파인더 내의 셔터스피드표시가 촬영거리(렌즈설정거리)표시로 바뀌어집니다. 파인더에서 눈을 떼는 일 없이 촬영거리를 확인하고 싶을 때 편리합니다.
<2.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알고 있을 때>
1. 포커스모드변환다이얼을 “MF”로 셋트 합니다.
2. 표시판넬을 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맞춰줍니다. 41
——————————————————
오토포커스에 관해
이 카메라의 오토포커스구조에는, 액티브방식(적외선에 의한 삼각거리측정방식)과 패시브방식(좌우의 측거창에 의한 피사체상의 어긋남을 이용해 핀트를 맞추는 방식)이 탑재되어있습니다. 예를 들면, 적외선이 닿지않는 원거리는 패시브방식으로 거리측정하고, 패시브 방식의 단점인 저 콘트라스트의 비교적 근거리 피사체는 액티브 방식이 맡고 있습니다. 2개의 방식을 병용하는 것에서 확실하고 정확하게 핀트를 맞출수 있지만 구조상, 다음과 같이 핀트 맞추기가 어려운 피사체가 있습니다. 이 주의를 참고해서 보다 좋은 핀트를 맞추세요.
<핀트맞추기 어려운 피사체>
1, 피사체가 포커스프레임내에 없고, 또는 피사체가 극히 작은 경우.
(1)핀트맞춤은 포커스프레임내에 있기 때문에 이 같은 경우에는 배경에 핀트가 맞춰집니다.
(2) 포커스프레임이 꽉 차있는 것 같은 피사체의 한 부분으로 핀트를 맞춰, 포커스락하고서, 구도를 되돌려 촬영해주세요. 42
——————————————————–
2. 저 콘드라스트 의 피사체
(1)하얀 벽 등, 낮은 콘드라스트의 피사체에서는 핀트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2)창틀 등의 콘트라스트가 있는 부분에서 핀트를 맞춰, 프레임락을 해, 구도를 되돌려 촬영해주세요.
3. 반복패턴
(1) 상의 어긋남을 이용해 핀트를 맞추기 위해, 전혀 다른 거리에 핀트를 맞춥니다.
그 경우, 파인더 내 거리표시가 전혀 다른 값을 표시합니다.
(2) 이 같은 경우에는 그림의 위치에 반복패턴을 피해 핀트를 맞춰, 포커스락을 하고, 구도를 돌려 촬영해주세요. 43
———————————————————
4. 어두운피사체
stroboscope 촬영시 등 어두운 곳에서는 액티브 방식이 유효합니다. 액티브방식이 유효하게 효과를 내기위해, 3m보다 가까이서 촬영해주세요. 가능한한 반사율이 높은 피사체(흰 셔츠등)에서 촬영해주세요.
*야경 등의 원거리의 피사체에는, 매뉴얼포커스에서 ”InF”(무한대)로 설정하면 좋은 핀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5. 수평선등 구선 뿐인 피사체
(1) 구선뿐의 피사체에서는 핀트를 맞출수 없습니다.
(2)카메라를 세로로 해서 핀트를 맞춰, 포커스락을 해, 구도를 돌려 촬영해주세요.
*수평선등, 원거리의 피사체는 매뉴얼 포커스에서 “InF”(무한대)으로 설정하면 좋은 핀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6. 매우 밝은 피사체등 광택이 있는 피사체의 경우
이 같은 경우, 핀트를 못 맞추는 일이 있습니다. 등거리에 있는 다른것에 핀트를 맞춰 포커스락을 하거나, 매뉴얼 포커스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설정해 촬영해주세요. 44
——————————————————–
7. 포커스프레임의 주변에 강한 광원이 있는 경우, 또는 배경에 태양등의 강한 광원이 화면내에 있는 경우
이 같은 경우, 핀트를 못 맞출때가 있습니다. 등거리에 있는 다른 것에 핀트를 맞춰 포커스락을 하든지, 매뉴얼포커스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설정해 촬영해주세요.
8. 포커스프레임내에 극도의 다른 거리에 피사체가 공존하는 경우
핀트를 못 맞추거나, 매우 잘못된 거리에 핀트를 맞추는 일이 있습니다. 이 같은 경우, 핀트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에 포커스프레임이 꽉 들어가도록 해 핀트를 맞추고 포커스락을 해, 구도를 돌려 촬영해주세요.
9. 고속으로 이동하는 피사체
고속으로 이동하는 피사체는 핀트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메뉴엘포커스에서 미리 거리를 설정하고, 피사체가 그 위치에 오면 촬영한다,
등 해주세요. 45
—————————————————–
촬영조작 과 응용테크닉
노출모드의 선택
촬영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다음의 노출모드를 선택합니다.
셧터스피드다이얼에서 변환합니다.
조리개 우선오토촬영(AUTO)
우선 조리개를 셋트하는 것에 따라서, 피사체의 밝기에 대해 셧터스피드를 자동적으로 컨트롤해, 적정노출을 얻습니다. 피사계심도를 이용한 촬영으로 적합합니다.
매뉴얼노출촬영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촬영의도와 목적에 맞춰 임의로 셋트해,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또 의도적으로 노출오버와 언더에 의한 것도 간단히 가능합니다.
벌브촬영(B)
장시간노광을 필요로하는 야간촬영 과 천체촬영을 할 때 사용합니다. 셔터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셔터가 열려 노광(露光)되어집니다.
stroboscope촬영(X)
당사 전용 스토로보 연동접점의 없음, X접점의 범용 stroboscope사용하는 경우에, 이 위체에서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TLA stroboscope이외의 stroboscope에 의한 촬영 (P63)을 참고해주세요. 47
——————————————————
조리개우선오토촬영
1. 셧터스티드 다이얼을 “AUTO”로 셋트합니다.
[변환은, 셧터스피드 다이얼락 해제버튼을 누르면서 셔터스피드 다이얼을 돌려주세요.]
2, 조리개를 셋트해 촬영합니다.
렌즈이 조리개Ring을 돌려 조리개를 셋트합니다. 셋트한 조래개에 관한 적정한 셧터스피드를 자동셋트하고, 피인더 내에 표시합니다. 48
——————————————————
* 보단사용하는 경우는 셧터스피드가 1/60초 ~1/6000초가 되도록 조리개를 선택합니다.
*노출마크” “ 가 깜빡거릴 때는 노출 오버로 됩니다. 피사체가 너무 밝기 때문에, 조리개를 좁혀, “ “가 사라지도록 해주세요.
*노출마크” “가 깜빡거릴 때는, 노출 언더로 됩니다. 피사체가 너무 어둡기 때문에, 조명을 비춰 피사체를 밝게 하거나, 조리개를 열거나 해서, “ “ 마크를 사라지게 해주세요.
또, 전용의 stroboscope를 사용하면 밝고 이쁜 사진이 찍힙니다.
*셔터스피드를 1/60초보다 느리게 하는 경우는 stroboscope를 사용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Stroboscope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카메라 흔들림을 막기 위해 삼각을 사용해주세요.
노출오버/언더 경고때도, 셔터버튼을 누르면 촬영가능합니다. 49
——————————————————–
메뉴얼노출촬영
1. 셧터스피드를 다이얼지표에 맞춥니다.
[조리개우선오토(AUTO)와 “X” 에서부터 변환하는 경우는, 셔터스피드다이얼락 해제버튼을 누르면서 셧터스피드다이얼을 돌려주세요.
2. 렌즈의 조리개링을 돌려 조리개를 셋트하고 촬영합니다.
파인더내에는, 셋트된 셔터스피드와 노출마크가 켜집니다. 셔터스피드다이얼 또는 렌즈의 조래개링을 돌려, 노출마크가 “ “가 되도록 해 촬영해주세요. 50
——————————————————–
벨브촬영(B)
1. 셧터스피드다이얼을 “B”로 셋트합니다.
2. 조리개를 셋트하고, 촬영합니다.
셔터버튼을 누르는 동안, 셔터가 열려 노광됩니다.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삼각에서 고정하든지, 안정된 받침대 등에 놓아, 별매의 케이블스위치를 사용해 촬영해주세요. 51
——————————————————–
노출의 보정
촬영할 때, 주요피사체와 그 배경에 극단의 명암차이가 있는 경우, 그대로는 주요피사체에 적정노출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노출의 보정을 해줍니다.
또, 의도적인 노출오버, 언더의 사진을 찍고 싶을 때에도 이용합니다.
노출의 보정에는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보정은 셔터스피드를 컨트롤합니다.
<1. 노출보정다이얼을 이용>
보통은 노출보정다이얼을 “0”으로 셋트하지만, 노출을 보정 하는 때는 노출보정다이얼을 돌려 희망하는 보정 값을 “다이얼지표”에 맞춰주세요. 보정 값은 +2EV~-2EV까지의 범위내에서 1/3EV마다 셋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노출보정다이얼을 “0”이와에 맞춰지면, 파인더 내에, 보정에 맞춰 “+” 또는 “-“마크가 켜지고 보정중에 있는 것을 표시합니다.
조리개우선오토시 : 보정한 값에 대해 셔터스피드가 변화합니다.
매뉴얼노출시: 보정한값에 대해 노출마크가 켜지기 때문에, 셧터스피드다이얼 또는 조리개링을 돌려, 노출마크가 “ “가 되도록 해 촬영합니다.
[촬영 종료후는, 반드시 보정다이얼을 “0”으로 돌려주세요.] 52
——————————————————–
역광 촬영 등의 경우는…
“+1/3” ~ “+2”의 범의에서 보정합니다.
역광과 밝은 공간, 바다를 뒤로한 인물, 또는 창공의 인물 등처럼 밝은 배경이 촬영화면에 차지하는 비율이 클 경우, 인물은 노출파인터로 되거나, 실루엣처럼 어두게 됩니다. 이같은 경우, 노출을 +1/3 ~+2의 범위에서 보정해, 노출을 많이 해줍니다.
어두운 배경등의 경우…
“-1/3” ~ “2”의 범위에 보정합니다.
스포트라이트에 밝게 드러난 인물등 처럼, 어두운 배경이 촬영화면을 차지하는 비율이 클 경우, 인물은 누출오버로 되 희뿌였게 됩니다.
이 같은 경우는, 노출을 -1/3 ~-2의 범의에서 보정하여, 노출을 적게 해 촬영합니다. 53
——————————————————–
<2. AE락 의 이용>
조리개우선오토 노출 촬영시에, 피사체의 노출(셔터스피트)를 기억하는 기구입니다. 역광시에의 촬영이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일정한 노출에서 연속 촬영하는 경우 등, 노출을 고정하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 메인스위치를 “AEL”로 셋트하면, 셋트 시점의 노출이 카메라에 기럭되어, 그대로 셧터버튼을 누르면 배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기억되어진 노출에서 셧터가 작동합니다.
1. 의도하는 구도의 집, 우선 주요피사체에 파인더의 중앙부분을 향하게 하고, 메인스위치를 “ON” -> “AEL”로 변환합니다.
이것으로 노출이 고정(AE락)되어집니다.
* AE락 중에는, 파인더내 셔터스피드 표시가 깜빡 거림으로 변합니다.
* AE락의 셋트는, 파인더 내 표시가 켜시고 있는 경우에 해주세요.
*이 카메라는, AE락의 방식으로서 셔터스피드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AE락후에 조리개를 바꿔주면 노출량이 변합니다. 54
——————————————————–
2. 파인더를 원래 의도했던 구도로 돌려 촬영합니다.
*AE락중에는, 노출이 계속 기억되, 몇번 이라도 같은 노출 값으로 촬영 가능합니다. 표시는 전력소모를 막기위해 16초 경과 후에 사라집니다.
* 연속촬영 (드라이브모드 “ CL” , “CH”) 하는 경우도 사전에 피사체의 밝기를 AE락으로 하면 배경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같은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AE락중에는 노출보정다이얼을 변경하면, 락했던 값을 기준으로 해 보정합니다. 55
——————————————————–
<3. A.B.C촬영(3코마연속자동노출보정)>
이모드에 셋트하면, 자동적으로 스탠다드, 오버, 언더, 라는 3단계의 노출 베리에이션으로 연속촬영이 가능합니다.
특히 묘한 노출조건으로 되도, 노출결정에 영향 없이 셧터를 계속 눌러, 찬스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A.B.C : Autmatic Bracketing Control
1. A .B.C 레버를 움직여, 보정폭을 셋트합니다.
A.B.C촬영으로 변환합니다. 보정폭은 +_ 0.5EV, +-1EV의 2종류가 설정 가능합니다.
*조리개우선오토에서는, 촬영할 때마다 측광정정, 그때의 측광값에 대해 보정을 합니다.
주위의 밝기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고 A.B.C촬영이 하고싶을 때는, 우선 AE락을 하면서 촬영하는 것을 권합니다.
*드라이브모드가 “CH”로 포커스모드가 “SAF”의 경우는 1코마째의 노출을 기준으로해서 보정합니다.
*매뉴얼촬영에서는 셋트한 셧터스피드에 대해 보정을 합니다.
*노출보정다이얼을 “0”이외로 셋트하면 그 보정값을 기준으로 한 A.B.C촬영으로 됩니다.
*A.B.C.촬영이 종료되면, 반드시 A.B.C레버를 “0”(A.B. C.지표가 숨는 위치)로 돌려주세요.
*Stroboscope를 병용하는 A.B.C촬영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56
——————————————————–
2. 드라이브모드를 연속촬영 “CL”, “CH” 로해 셔터버튼을 계속 누르면 , 셋트된 보정값에 따라, 스탠더드, 오버, 언더, 의 순서로 촬영되, 3코마촬영이 종료하면 멈춥니다. 드라이브모드를 “S”로 하면 1코마 마다의 A.B.C촬영이 됩니다. “ “ 로 되면, 셔터버튼을 누른 후, 10초후 연속촬영에 의한 A.B.C촬영이 됩니다.
A.B.C.촬영중에 촬영순서를 표시하기위해, 필름카운터가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스탠다드: 양쪽 모두 깜빡임
오버 : 좌측 깜빡임
언더:우측 깜빡임
예를 들면 18코마째부터 A.B.C촬영을 한 경우는 다음처럼 됩니다.
[그림아닌그림]
* 보정폭이 카메라의 보정한계를 초과하는 경우는, 한계 보정값에서 촬영되어집니다.
*도중에서 중지 하는 경우는, A.B.C레버를 “0으로 해주세요.
*A.B.C작동중에 다시 한번 “ON”으로 하면, A.B.C촬영은 또 1회 째 보다 차례차례 3코마분 가집니다. 57
——————————————————–
스트로보 촬영
실내와 야간의 촬영에는, 스트로보의 사용을 권합니다. 이 카메라와 콘텍스TL후락쇼시스템을 짜맞추면, 카메라 옆에 스트로보광을 자동제어하는 “TTL다이얼측광”예 의해 촬영이 되어집니다.
1. 카메라에 TLA스트로보를 설치해, 스트로보의 전원을 넣습니다.
2. 스트로보를 “TTL오토모드”로 셋트합니다.
충전이 완료되면 파인더에 “ “마크가 켜지고, 다음처럼 셧터스피드가 자동셋트되어집니다.
ㅁ. 조리개우선오토(AUTO)의 때 [표] 58
——————————————————–
ㅁ. 매뉴얼노출, X (스트로보), B (벨브)의 경우
매뉴얼 노출의 경우는 셔터스피트는 자동셋트 되어지지 않습니다. 반드시 “X” 또는 1/125초이하에 셋트해주세요. 셋트한 셔터스피드가 파인더 내에 켜져 표시됩니다.
“x”의 경우는 셧터스피드가 1/200초에 셋트되, 파인더 내에 “200”이 켜져 표시됩니다.
“B”의 경우는 “벨브촬영”으로 되, 파인더내 “blb”이 표시됩니다.
3. 조리개를 셋트해서 촬영합니다.
조리개는 사용하는 스트로보의 취급설명서에 따라 결정해주세요.
스트로보가 자동제어되알맞은 노출이 된 경우는, 촬영후 파인더내 “ “마크가 2초간 깜밖거립니다.
*촬영후 “ “마크가 깜빡거리지 않을때는 노출파인더로되기 때문에, 조리개와 촬영거리를 바꿔 촬영시 고쳐주세요.
*근접촬영시 “ “가 촬영후 깜빡거려도 노출오바로 되는있이 있습니다. 스트로보의 취급설명서기재의 촬영 범위에서 촬영해주세요.
*A.B.C레버는 반드시 “0”으로 해주세요.
*드라이브모드가 “CL”, “CH”(연속촬영) 의 경우는, 발광 간격등 스트로보의 성능을 확인한후 사용해주세요.
*필름감도는 ISO25~800으로 연동합니다.(노출보정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59
——————————————————–
<스로이싱크로촬영>
스트로보 촬영에서, 인물을 찍는 등의 경우에, 석양이나, 야경 등 배경의 정경도 살려 촬영을 하는 것은 1/30초이하의 스로이싱크로촬영이 유효합니다.
TLA스트로보의 TTL오토모드를 이용하면 단단한 조작으로 스로이싱크로촬영이 됩니다.
ㅁ. “조리개우선오토(AUTO)의 경우
구도를 경정해, 메인스위치를 “AEL”로 셋트합니다. 셧터스피드가, 자연광의 측광값에 락되어지기 때문에 스트로보의 충전완료를 확인해 촬영해주세요.
ㅁ. 매뉴얼노출의 경우
셔터스피드를 1/30초이하에 셋트합니다. 조리개를 움직여 “ “가 켜지개 하도록하고, 스트로보의 충전완료를 확인하고 촬영해주세요.
*스로이싱크로촬영에서는 셧터스피드가 늦게되기 때문에, 카메라 흔들림방지를 위해 삼각을 사용해주세요. 60
——————————————————–
<데이라이트싱크로촬영>
옥외 촬영시에, 예를들어 강한 햇살의 밑이나 역광의 밑에서 그대로 인물을 촬영하면, 인물은 어둡게 됩니다. 이 같은 때, TLA스트로보를 사용해 TTL오토모드에서 촬영하면 인물도 배경도 이쁘게 찍히는 것이 가능합니다.
ㅁ. 조리개우선오토 의 경우
스트로보충전완료후, “ “가 깜빡거린 경우는 조리개를 조절해 “ “를 없애고 촬영해주세요.
ㅁ. “매뉴얼노출”의 경우
셧터스피드 다이얼을 “X”또는 “125”이하에 셋트해주세요
조리개를 조정하고, 파인더 내 노출마크가 “ “ 표시가되도록 해 촬영해주세요.
<노출보정다이얼의 이용>
TTL오토촬영에는, 스트로보의 발광량은 카메라의 노출보정다이얼에 연동합니다. 스트로보광량을 조정하고 효과를 내고싶을 때는, 노출보정다이얼을 이용해주세요. 61
——————————————————–
<후막싱크로촬영>
후막싱크로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스로이싱크로촬영하는경우에 효과가 있습니다.
보통의 스트로보촬영은, 셔터의 선막이 주행을 마친직후에 스트로보를 발광시켜[선단싱클]라고 하는 방법으로 촬영합니다. 이 카메라와, [후막싱크로]기능이 있는 당사스트로보를 자맞추면, 수막이 주행을 시작하기 직전에 스트로보를 발광시켜 [후막싱크로]라는 방법이 가능합니다. 스트로보광으로 비쳐진 피사체의 뒤에, 자연광으로 비쳐진 피사체의 움직임이 연결되도록 찍어, 저연적인 움직임을 표현합니다.
*노출제어는, 보통의 스트로보촬영(선단싱크로)와 동일합니다. 62
——————————————————–
1.카메라에 스트로보를 설치, 셧터스피드다이얼을 “X”(1/200초)또는 1/125초이하로 셋트합니다.
2. 조리개를 셋트하고 촬영합니다.
조리개는, 사용하는 스트로보의 취급설명서에 따라 결정해주십시요.
*다이렉트접점식에 없는, 코드를 필요하는 스트로보는, 카메라측면의 싱크로터미널에 접속해주세요. 63
——————————————————–
같은 화면에 틀린 종류의 피사체, 혹은 같은 피사체를 거듭 찍는 것등, 독측한 사진표현이 가능합니다.
1. 드리이브모드 변환다이얼을 다량노출모드 “ “로셋트합니다.
*표시판넬에 “ “마크가 깜빡거립니다.
2. 셧터버튼을 누릅니다.
1회째의 노광을 하고, 다음노광을 위해서 셔터만이 셋트 되어집니다.
*표시판텔의 “ “가 켜짐으로 변합니다.
3. 드라이브모트 변환다이얼을 “s”로 합니다.
표시판넬의 “ “는 켜진채입니다.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이 “ “인채에서는 다음 노광이 불가능합니다. 64
——————————————————–
4. 다시한번셧터버튼을 누릅니다.
2회째의 노광을 행한후, 필름이 보내져 다량노출모드가 종료합니다.
[3회이상의 다량노출을 하고 싶을경우는, 상기 “3”에서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일단 “S”로 한후, 다시 한번 “ “ 로 셋트해주세요. “ “마크가 켜지고나서 깜빡거리면, 그 상태에서 셧터버튼을 누르면 거기에 1회다중노출로 가집니다. 이조작을 반복하는 것에의해, 희망회수분의 다량노출이 행해집니다.
*1회째노광의 후, 메인스위치를 OFF로 하면, 다음에 “ON”한경우는 다중노출의 연속(2회째의 노광)으로 됩니다.
*다중노출모드로 셋트한후, 촬영 개시전에 다른드라이브모드로하면 다중노출은 중지되어집니다.
1회째노광후의 다중노출은 중지할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주십시오. 65
——————————————————–
셀프타이머촬영
1.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 “ 로 셋트합니다.
2. 핀트를 맞춰, 샤트버튼을 눌러주세요.
셀프타이머가 작동하고, 10초후에 셔터가 작동합니다. 셀프타이머 작동중 카메라전면의 셀프타이머 LED가 깜빡거립니다.
*포커스모드가 “SAF”의 경우는, 셀프다이머스타트시에 핀트가 락되어집니다. “CAF”의 경우는, 셀프타이머 작동중에도 연속해서 핀트를 계속 맞춤니다.
*셀프타이머 촬영시는 삼각을 사용해주세요.
*노출모드를 “B”로셋트한경우는 셀프타이머를 사용해주세요.
셀프타이머작동중에 셔터버튼을 누르면, 셀프타이머 작동이 최초로 되돌아가, 10초후에 셔터가 작동됩니다.
*셀프타이머작동을 도중에 중지하는 경우는, 메인스위치를 OFF로 하든지, 드라이브변환다이얼을, 다른 모드로 변환해주세요. 66
——————————————————–
그밖에
카스탬기능
이카메라에는, 다음의 표와같이, 5항목의 “커스텀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물건을 살 때는, 표준적인 기능(내용번호 “0”)으로 셋트 되어 있습니다. (이 취급설명서에는 “0” 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커스텀기능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는 [커스텀기능의 셋트방법](P72)를 참고하여주세요.
*커스텀기능을 셋드하면 카메라의 기능과 조작수순이 변합니다. 이 [커스텀기능]의 페이지를 잘 읽고, 올바르게 사용해주세요.
내용번호기능번호 | 표준설정 0 | 변경설정 1 |
1 :AE락 방법 | 메인스위치를 “AEL”로 한다 | 셔터버튼을 반누르고있는 동안, AE락한다. (스트로보충전완료때를 제외한다)*메인스위치에 의한 연속AE락시는 연속AE락이 우선합니다. |
2: A.B.C. 촬영순서의 변환 | 촬영순서가 스탠다드-> 오버 ->언더 | 촬영순서가 오버-> 스탠다드 -> 언더 |
3. 필름되감기때의 필름남김 | 필름을 파트로네 안에 전부 감아넣다 | 필름의 끝을 파트로네 의 밖에 남긴다 |
4: 매뉴얼포커스시, 촬영거리 맞추는방법 |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촬영거리를 맞춘다 | 포커스락 버튼을 누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촬영거리를 맞춘다. *1 |
5: 다중노출촬영의 방법 | 노광할때마다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조작한다 |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 “로셋트한채, 상황에 따라 필요한 회수의 다량노출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
CLE :카스탬기능의 오이루리셋트 | 카스탬기능(1~5)의 내용을 전부 표준설정 “0”으로 되돌린다.이 상태에서 메인스위치를 “OFF”로 하면, 거기까지에 셋트한 카스탬기능의 내용이 전부 표준설정 “0”으로 됩니다.*셔터버튼의반누름, 또는 그채로 약 16 초 경과해도 표준설정 “0”으로 되므로 주의해주세요. |
——————————————————–
[그림] 1을 누르면서 2를 돌린다.
*1. 이 기능에 셋트하면, 매뉴얼 포커스에서 거리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매뉴얼 포커스 (MF)때,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촬영거리를 맞춥니다. 모르는사이에 포커스다이얼이 움직여뜻하지않게 핀트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피하고 싶은 때와, 사전에 일정거리에 핀트를 맞춰두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그림]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린다./포커스락버튼을 놓는다.
조작방법 (“MF”로 셋트해둡니다.)
ㅁ. 카메라의 측거기능을 이용해 거리를 맞출 때:
피사체에 포커스프레임을 향하게하고,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립니다. [合焦]표시로 된곳에서 포커스락버튼을 놓는다. 70
——————————————————–
ㅁ. 임의의 거리로 맞출 때:
포커스락버튼을 누르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표시판넬에 원하는 [거리숫자]를 표시된곳에서 포커스락버튼을 놓습니다.
(예) :3M에 맞추다
포커스락버튼을 돌리면서 포커스다이얼을 돌린다.
표시판넬 포커스락버튼을 놓는다.
*2. 이 기능으로 셋트하면,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 “로 셋트한채, 다중노출촬영이 가능합니다. 상황에 관해 필요한 동수만큼 다중노출이 행해집니다.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 “로하면 표시판넬에 “ 마크가 깜빡거려, 셧터를 작동하면, 다음의 노광을 위해 셧터만이 셋트되어집니다. 드라이브모드변환다이얼을 “ “ 에서 다른 모드로 바꾸면, 필름이 보내져, 다중노출이 종료됩니다.
*이 기능을 선택하는 때는, 다중노출이 종료되면, “ “ 에서 다른 모드로 되돌리는 것을 잊지말아주세요. 71
——————————————————–
커스텀기능의 셋트방법
[그림]동시에 약 1.2초간 누른다.
<커스텀기능의 셋트방법>
1. 표시 판넬이 그림과 같이 표시되기까지 (약 1.2초간) , “ISO버튼”과 “포커스락버튼”을 동시에 계속 눌릅니다.
그림과 같은 표시 (커스텀기능셋트상태)로 되면, 한번 버튼에서 손가락을 떼어주십시오.
2. “포커스다이얼”을 돌려, 셋트하는 [기능]의 번호를 선택, 표시합니다.
*포커스다이얼을 돌리면, [기능]의 번호가 1<->2<-..->5”CLE”<-> (이하반복)로 변합니다.
3. 포커스락버튼을 누러, [내용]의 번호를 선택합니다.
*포커스락버튼을 누를 때마다, [내용]의 숫자가 변하기 때문에 셋트하는 번호 (“0”또는 “1” 로 해주세요. 72
——————————————————–
4. 메인스위치를 일단 “off”로 해주세요. 이것으로 셋트완료입니다.
*셧터버튼을 반누르거나, 또는 그대로 약 16초간 경과해도 셋트가 완료합니다. 73
——————————————————–
케이블스위치소켓
케이블스위치L을 접속하는 소켓에서, 케이블스위치L에서의 전기신호를 전달 받아, 셔텨를 작동시킵니다.
*케이블스위치를 사용해 오토포커스(“SAF”, “CAF”)에서 촬영하는 경우는 핀트맞춤을 행한후 셧터가 작동합니다. 하순간의 셔터찬스를 노린 촬영에서는 포커스모드를 “MF”로 해주세요.
*케이블스위치소켓에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의 메카방식 케이블레리즈는 설치하지 말아주세요.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속뚜껑의 분해
카메라의 속뚜껑은 붙였다 떼었다하는 핀을 눌러 분해가 가능합니다. 74
——————————————————–
측광방식에 관해
이 카메라에는 셔터 한장면의 반사광을 재는 “TTL실조리개측광”(중앙중점평균측광)과 파인더 가로의 수광소자에서 측정하는 “외부측광”의 2가지의 측광방식이 있습니다. 외부측광은 HologonT16mmF8를 사용하고, 그밖의 렌즈는 TTL실조리개 측광으로 됩니다. 렌즈를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변환합니다.
또, 외부측광은 데이터백 GD-2를 사용하는경우, [촬영시의 노출데이타]의 [?세F값]의 산출으로도 사용합니다.측광창이 가려지지않도록 주의해주세요
75
——————————————————–
호로곤 16mmF8에 관해서
호로곤 16mmF8은 초광각의 특수렌즈로 되어있기때문 에, 사용에 있어서 다음을 유의해주십시오.
<1. 뷰 파인더>
호로곤 16mmF8사용시는, 반드시 렌즈에 부착된 뷰파인더 (GF-16mm)를 사용하주세요. 뷰파인더는 , 카메라의 액세서리쇼에 멈추는곳까지 확실하게 꽃습니다.
1. 촬영범위 : 촬영거리에 따라, 뷰파인더에 보이는 범위에 대해, 실제로 찍는 범위는 대략 위의 그림과 같이 됩니다. 이 그림을 표준으로해서 구도를 결정해주세요. 특히 약 1m보다 근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는, 피사체가 촬영화면부터 초과하지 않도록 여유를 갖고 구도를 결정해주세요. 76
——————————————————–
2. 수준기: 이 호로콘 16mmF8은, 초광각이기 때문에 조금 상하의 경사라도 화면에 큰 영향을 줍니다. 뷰파인더에는 수준기가 내장되어있기 때문에, 건축물과 기 둥등이 평행하게 보이도록 촬영하는 경우는, 수준기의 “구”가 중앙이 되도록 해서 촬영해주세요.
<2. 핀트맞추는 방법>
호로곤16mmF8핀트맞춤은 렌즈의 거리레버를 수동으로 움직여서 행합니다.
오토포커스에서는 되지 않습니다.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렌즈의 거리지표에 맞춰 촬영해주세요.
피사체까지의 거리측정(측거)에는 다음 방법이 있습니다. 77
——————————————————–
(1) 목측: 목분량에서 거리를 측정합니다.
(2)카메라의 측거기능을 이용 ( ~약 0.5m까지)
포커스모드를 “SAF”로 하고, 카메라파인더 내의 포커스프레임을 피사체로 향해, 셧터버튼을 반누르면, 표시판넬에 피사체까지의 거리(m)가 표시됩니다.
*핀트가 맞춰지지 않는 표시가 나올 경우는, 일단 셧터버튼에서 손가락을 떼어주세요. 다시셧터버튼을 반눌러, 핀트가 맞은 것을 확인하고서 파인더에서 눈을 떼어, 거리를 읽어 주세요.
(3)메쟈 에서 실측(~0.3m까지)
카메라의 “ “ 마크 (거리기준지표)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3. 노출에 관해>
호로곤16mmF8의 밝기는 , F8(고정)입니다. 조리개의조절은 불가능합니다.
*매뉴얼노출의 경우는, 셧터스피드에서 노출을 조절해주세요.
*호로곤16mmF8을 설치하면, 측광방식은 자동적으로 “외부측광”으로 변환됩니다.
<4. 글라디에이션필터-4x에 관해>
호로곤16mmF8에는, 초광각렌즈가 특유의 주변광량저하가 있습니다. 이특성을 살린 촬영이외에, 화면주변까지 살린 촬영을 하고 싶은 경우 렌즈에 부속의 글라디에이션필터-4를 병용해주세요. 이것을 사용 할때는 노출보정을 행해주십시오.
*조리개우선오토의 때는, 노출보정다이얼을 “+2”로 합니다.
*매뉴얼노출의 경우는, 셔터스피드를 2단계 늦게 합니다. 78
——————————————————–
<5.스트로보촬영에 관해>
TTL다이엑트측광에 의한 스트로보 촬영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외부 측광 오토 스토로보촬영, 또는 매뉴얼 스토로보 촬영을 행해주세요.
*스트로보는, 싱크로터미널에 접속해주십시오.
*렌즈의 면각이 넓기위해, 주변까지는 스트로보 광이 가지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6. 그 밖의 주의사항>
면각은 넓고, 동시에 렌즈의 길이가 짧기위해, 카메라를 드는 손등, 다른 것이 찍히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케이스를 들고 촬영할 때 손가락이 찍히기 쉬우므로 특별히 주의해주세요.
——————————————————–